FE - 공통 기능

BE - 회원가입 스키마

FE, BE 상호작용

기능/버튼 프론트엔드 백엔드
이름 유효성: 2-4자 한글 서버에서 받아서 검사 → DB에 저장
연락처 유효성: 숫자만 11자, 앞 3글자 010 서버에서 받아서 검사 →DB에 저장
주소 ‘주소찾기’ 버튼 누르면 (카카오API) 자동 입력됨. 서버에서 받아서 검사 →DB에 저장
상세주소 서버에서 받아서 검사 → DB에 저장
(주소 + 상세주소)
이메일 주소 유효성: 정규식 (복붙) 서버에서 받아서 검사 → DB에 저장
(B) 이메일 인증 클릭이벤트 - AJAX 요청 서버에 보내기 nodemailer 라이브러리 활용
인증번호 생성 함수
인증번호 보내기
이메일 인증번호 유효성: 숫자 6글자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번호 요청에 확인
비밀번호 유효성: 영문, 숫자 포함 8-16자 서버에서 받아서 검사 → DB에 저장
(B) 비밀번호 확인 유효성: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
(B) 회원가입 클릭이벤트 - 폼 전송 ‘회원가입’ 버튼 누를 시 유효성 검사 통과여부 확인 후 DB에 {이름 : XXX, 연락처: XXX, 주소: XXX (상세주소 포함), 이메일: XXX, 비밀번호: XXX }으로 저장됨.

| FE | • 이메일 주소 넣을 html 태그 • 이메일 주소 보내는 이벤트 처리 •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번호 보내는 AJAX 요청 | | --- | --- | | BE | • 임의의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함수나 모듈 제작 • Nodemailer로 제공된 이메일 주소로 인증번호 보내기 (GMail만 하는 걸로) |

실행되는 과정

  1. FE - 사용자가 이메일을 입력한다.
  2. FE - 사용자가 이메일 인증버튼을 누른다.
  3. BE - 서버에서 인증번호가 담긴 이메일을 생성해서 보낸다.